최근에 배달의민족 앱의 모양이 크게 바뀌었습니다. 가게배달(배민)의 위치는 왼쪽 구석으로 작게 위치하고 중앙에 배민배달(배민1)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신규 고객이라면 배민1으로 주문할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물론 알뜰 배달, 한집 배달 이런 걸 보면서 조금 아는 사람들은 배민으로 들어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배민1 배달의 불편함을 느끼고 배민으로 오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최근 배달의민족 앱의 변화는
사장님들에게 큰 충격을 주고 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울트라콜 깃발의 효율은 꽤 떨어졌습니다. 특히 경쟁이 치열한 수도권 쪽이 더 심하고, 지방은 그래도 아직 배민1 보다는 배민을 선호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하는 질문이 깃발을 다 뽑아야 하나 하는 것입니다.

깃발 뽑아야 하는가요? 라는 질문에 ‘전 다 뽑았어요. 뽑으세요’라는 답을 많이 듣기도 했을 것입니다.

컨설팅매니아의 대답은 이렇습니다.

울트라콜 깃발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어떤 결과가 있을 수 있는지는 미리 말씀드립니다.

깃발의 효율이 이전보다는 낮습니다. 그러나 신규 고객 확보와 맛집 랭킹 상승효과로 단골손님을 만드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 곳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장기적으로는 “기타”의 매출이 높아져서 순수익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전보다는 효율이 낮을 것입니다. 그래도 꽤 많은 손님들이 깃발로 주문하기 때문에 위치만 잘 선정해 본다면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괜찮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꽤 단골을 확보하고 기타 주문이 많은 매장이라면 울트라콜 깃발을 유지하면서 천천히 하나씩 뽑아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신규 가게입니다. 순수익이 어떻든 일단 매출이 나와야 뭐든 됩니다. 그런데 매출 올리는 데는 당장 배민1이나.. 수도권이라면 쿠팡 이츠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수수료가 많이 듭니다. 마진이 적기에 이건 독이 될 수 있습니다. 당장 먹기는 좋으나 내 노동력이 한계에 다다를 때에.. 남는 돈이 많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생각해 보시겠습니다. 내 노동력이 10개가 있다고 합시다. 노동력 1개당 1000원에 판다면 10개를 팔면 1만 원을 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당장 1000원에 팔 수 있는 노동력은 5개뿐입니다. 5천 원밖에 못 법니다. 아주 천천히 하나씩 추가됩니다. 6개 7개 8개… 한참 걸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노동력을 1개당 700원에 팔면 금방 8개, 9개, 10개를 팔 수 있습니다. 그러면 버는 돈이 7천 원입니다. 당장은 노동력 하나당 1000원에 파는 것보다는 돈을 더 법니다. 그런데 남는 노동력이 없습니다. 노동력의 한계가 7천 원입니다.

그러나 1000원에 팔면 5천 원이지만.. 천천히 증가해서 나중에는 1만 원까지 벌 수 있습니다.

배민과 배민1의 차이가 이와 같습니다. 당장 배민1으로 하면 매출은 증가하나 더 피곤하고 남는 건 적을 것입니다. 그러나 배민은 남는 건 좀 더 많을 수 있으나 당장 매출이 잘 안 오릅니다.

그래서 컨설팅매니아는 이렇게 제안합니다. 노동력이 10개가 아니고 30, 40개인 직원이 많은 큰 음식점은 무조건 매출 높이는 게 낫습니다. 그래서 배민1도 하고 배민도 하고 해서 일단 많이 받으면 됩니다.

사장님만 일하시는 작은 음식점은 어떠할까요… 물론 둘 다 광고를 하면 좋은데.. 자본과 체력을 생각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작은 음식점은 단거리 달리기가 아닙니다. 조용히 적당히 오래오래 하고 싶으신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면 체력과 건강을 먼저 챙기는 것이 우선입니다. 그러려면 마진을 많이 남겨야 합니다. 박리다매는 큰 음식점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자본 체력에 따라 배민과 배민1의 분배를 잘 해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답이 뭐냐고 물으신다면…

가장 어리석은 대답은 자기가 경험한 것만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댓글에 깃발 꽂으라 말아라 하는 이야기가 쉽게 나옵니다. 컨설팅매니아는 사장님의 입장에서 그리고 그 지역 환경에 맞게 도움을 드립니다. 천편일률적인 컨설팅이 아니라 작은 가게 사장님에게 필요한 도움을 드립니다. 작은 가게 사장님들이 가격 부담 없이 문의하실 수 있도록 가격을 낮춘 것입니다.